업무분야
판심법무법인 군형사·군사재판 사건 대응 분야 안내
군형법/군인성범죄

군형법은 군인이나 군무원 및 군적을 가지고 있는 생도와 사관, 부사관 후보생 등의 군인에게 적용되는 법입니다.
군징계

군인징계령에 따라 군인 또는 군무원을 징계하는 것으로 군인에게 주어진 10가지 의무를 위반하면 징계를 받을 수 있습니다.
병역법

대한민국 국적 남성이라면 병역 의무가 발생하며 입대 후의 병역 수행에 관하여도 해당 법령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국가유공자

국가유공가 등록 신청은 요건이 매우 까다로운 편이기에 엄격한 기준에 따라 판단되고 있습니다.
판심 법무법인 소개
판심법무법인 소개 및 군형사 사건 처리 원칙
소송에는 승패가 있습니다.

소송의 승패는 나아가,
인생의 승패가 되어버릴 수도 있습니다.
판사출신 문유진변호사는
이 구조를 너무나도 잘 알고 있습니다.

아무나 해결할 수 없는 사건,
첫 대응, 첫 시작을 판심(判心)과 함께 하세요.
진정한 승자인 여러분의 인생을 응원합니다.
온전한 당신의 편이 되어드립니다.

이제 판사 출신 문유진 변호사를 믿고 가야 할 때입니다.
판심 구성원
판심법무법인 군형사 사건 담당 변호사
문유진 대표변호사
서울법대 판사역임
이광수 변호사
서울법대 부장검사역임
신규호 변호사
수원지검 군검사역임
임완기 변호사
서울대 법대 졸업
김진국 변호사
서울대 법대 졸업
[판사의 마음] 판사출신 문유진 변호사
서울법대판사출신 과학고조기졸업 카이스트진학 사법시험 49회 엘리트판사의 엘리트변호

당신의 변호사는 누구입니까?
나의 변호사는 판심, 판심입니다.

법대 위에서 수없이 많은 변호를 듣던 판사!
그 판사가 이제 당신만의 변호사가 되어
오직 당신만을 위해 변호합니다.

현) 판사의 마음 판심 법무법인 대표변호사
전) 수원지방법원 판사
전주지방법원 판사

과학고 조기졸업, 카이스트 진학
서울대 법대 졸업
사법시험 제49회 합격

​성범죄ㆍ아동학대 전담재판부 판사
부패(횡령, 배임, 사기), 교통 전담재판부 판사
형사부 판사
민사부 판사
행정부 판사
가압류가처분 판사
수원지방법원ㆍ경기지방변호사회
공동판례연구회 부동산명의신탁 발제

군형사변호사 Q&A

군형사 사건은 군 내부 규율에 따른 군형법군사법원법이 적용되며, 민간과 절차·판단 기준이 다릅니다. 성범죄·폭행·명령위반·징계·병역문제 등 유형별 접근이 필요합니다.

1. 군사법원의 관할과 절차

군형사 사건은 군사법원이 1심 관할하며, 피고인이 군인·군무원인 경우 원칙적으로 군사재판을 받습니다. 다만 일부 사건은 민간 이관이 가능하며, 헌병 수사 → 보통군사법원 기소 → 상급심 군사고등법원 순으로 진행됩니다.

2. 주요 군형사 범죄유형

  • 군형법상 범죄: 상관폭행, 항명, 명령위반, 탈영, 군 내 성범죄 등
  • 군사기밀 관련: 군사상 기밀누설, 허위보고, 직무유기
  • 일반형법 준용범: 살인, 폭행, 절도, 사기 등

3. 징계·행정처분 병행 문제

형사절차와 별도로 군징계전역처분이 병행될 수 있습니다. 징계절차는 군인사법군인복무규율에 근거하며, 위법·과중한 징계는 행정심판 또는 행정소송으로 다툴 수 있습니다.

4. 양형 및 변론 포인트

  • 상명하복 구조 내 불가피성·심리적 압박
  • 군조직 특수성과 계급 간 관계
  • 전과·복무 태도·공적 등 참작
  • 피해자 합의·징계 전 선처 노력

관련 법령 요약

「군형법」 — 상관폭행, 명령위반, 항명, 군 내 성범죄 등 규율.
「군사법원법」 — 군사법원의 설치 및 관할, 절차 규정.
「군인사법」 — 징계·전역·복무 규율 관련 조항 포함.
출처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FAQ

Q. 군형사 사건도 민간 변호사가 가능하나요?
A. 네. 군사법원은 민간 변호인의 선임을 허용하며, 변호인 조력권은 보장됩니다.
Q. 군사법원 판결에 불복할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군사고등법원 및 대법원 상고를 통해 불복이 가능합니다.
Q. 형사처벌과 징계가 동시에 가능한가요?
A. 네. 형사판결과 별도로 징계·행정처분이 병행될 수 있습니다.
Q. 전역 후에도 군사재판을 받을 수 있나요?
A. 일정 요건(군 복무 중 범행 등)에 따라 전역 후에도 군사법원 관할이 유지됩니다.

관련 링크

meta-note: 판심 Pro형 법률 정보 콘텐츠 / 2025년 10월 기준

Quick
Menu